Search

005 50년 넘게 유지된 무어의 법칙

쿠팡파트너스 활동으로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Cramming more components onto integrated circuits - 집적회로에 더 많은 부품 집어넣기 https://download.intel.com/newsroom/2023/manufacturing/moores-law-electronics.pdf

Moore’s law

기술이 향상되면서 일정한 크기의 집적회로 칩 안에 들어갈 수 있는 트랜지스터의 갯수가 1~2년 마다 두배로 증가한다
트랜지스터의 갯수는 컴퓨팅 성능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 즉, 1~2년마다 컴퓨팅 파워가 두배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
1970년대 초 인텔 8008 프로세서의 집적회로 수는 수천개. 지금은 저가형 노트북 프로세서에서도 집적회로 수는 수십억개로 늘어났다
1980년도 설계된 집적회로는 3.5 마이크로미터(3.5×1063.5 \times 10^{-6})의 선폭 → 2021년 설계된 많은 집적회로의 최소 선폭은 7나노미터(7×1097 \times 10^{-9})
집적회로 선폭이 10310^{-3}배가 되면, 동일 면적에 들어갈 수 있는 소자 갯수는 제곱인 10610^6배, 즉 백만배가 된다
무어의 법칙은 반도체 산업에서 목표 달성을 위한 일종의 가이드라인
미래 어느 시점에는 무어의 법칙이 더이상 적용되지 않고 한계에 부딪힐거라 말들이 많지만, 아직까지는 다양한 연구로 한계를 극복하고있음
하지만 일부 회로의 경우, 회로에 개별 원자 몇 개가 고작 들어갈까 말까 한 아주 미세한 사이즈까지 이르렀는데, 아주 미세한 회로를 제어하는 것은 어려움
칩이 너무 빨라져 발열이 증가 → 프로세서 속도가 예전만큼 빠르게 증가하지 않을 것 같은 이유
이제는, 프로세서 칩 하나에 멀티 코어를 배치함으로써, 개별 코어 성능 향상 보다는, 장착 가능 코어수의 증가로 성능이 향상된다 볼 수 있음.